버전 비교

  • 이 줄이 추가되었습니다.
  • 이 줄이 삭제되었습니다.
  • 서식이 변경되었습니다.

...

코드 블럭
# Node Label 확인
kubectl get nodes --show-labels

# Node Label 추가
kubectl label nodes cpw1-k8s svc=web

2.2 Pod Selector

...

코드 블럭
languagebash
# yaml 파일을 적용합니다.
kubectl apply -f 012.nginx08-volvolume-3hostpath.ymlyaml
 
# 생성된 파드에서 마운트 된 경로의 파일을 확인합니다.
kubectl exec -it nginx-vol-3 -- ls -l /usr/share/nginx/html
total 4
-rw-r--r-- 1 root root 9 Apr 28 01:17 index.html

# 파일 내용을 확인합니다.
kubectl exec -it nginx-vol-3 -- cat /usr/share/nginx/html/index.html
hihihihi
 

[root@m-k8s vagrant]# kubectl get pod -o wide
NAME          READY   STATUS    RESTARTS   AGE    IP               NODE     NOMINATED NODE   READINESS GATES
nginx-vol-3   1/1     Running   0          107s   172.16.221.185   w1-k8s   <none>           <none>
[root@m-k8s vagrant]# 
[root@m-k8s vagrant]# curl 172.16.221.185
hihihihi
 
 
# node에서 생성한 파일이 pod에 hostpath를 이용해 마운트 된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. 
# hostpath의 경우 권한이 다르면 사용할수 없으므로 컨테이너 내 사용자로 권한을 바꾸거나 root사용자로 구동되도록 하여야 합니다.
 
 
# 실습을 위해 실습환경을 정리합니다.
[root@m-k8s vagrant]# kubectl delete -f 012.nginx-vol-3.yml
pod "nginx-vol-3" deleted

...

코드 블럭
# nfs-utils 패키지를 설치 합니다
apt install -y nfs-server
 
 
# nfs 공유로 사용할 폴더를 생성하고 테스트에 사용할 index.html 파일을 생성합니다
mkdir /nfs
chmod 777 /nfs 
echo "hihihi" > /nfs/index.html
 
# nfs공유 설정을 해줍니다.
cat <<EOF | tee /etc/exports
/nfs *(rw,no_root_squash)
EOF
 
 
# nfs서버 서비스를 실행하고 활성화 합니다.
systemctl enable nfs-server --now
Created symlink from /etc/systemd/system/multi-user.target.wants/nfs-server.service to /usr/lib/systemd/system/nfs-server.service.
 
# 확인
# 출력값이 없으면 [systemctl restart nfs-server] 실행합니다.
[root@w2-k8s ~]# exportfs
/nfs            w2-k8s
 
# nfs설정이 정상인지 worker1번에서 마운트 하여 테스트 합니다 
ssh w1-k8s
 
# 모든 마스터/워커노드에서 nfs 패키지를 설치합니다.
yumapt install nfs-utils -ycommon
 
mkdir /nfs
mount w2-k8s:/nfs /nfs
df -h
Filesystem      Size  Used Avail Use% Mounted on
.....
192.168.1.102:/nfs           38770304 4569856  34200448  12% /nfs
.....
 
 
[root@w1-k8s /]# ll /nfs
total 4
-rw-r--r--. 1 root root 6 Sep 13 12:47 index.html
 
#nfs서버가 정상 작동되는것을 확인 했으니 이제 실습을 진행 합니다.

#/nfs 폴더를 umount 해줍니다.
umount /nfs    
 
이제 설정이 완료된 nfs볼륨을 이용하여 pod를 생성하여 줍니다

...